목록프로토콜 (2)
찬이네사진관
IP 포맷은 일단 무조건 외워야하는 포멧이다.총 4바이트(워드단위)로 읽어 들이는데 1단계 모식도 Version - Internet Header Length - TOS(긴급비트확인) - Total of Length가 들어간다 1단계 : IP의 버전(IP v4, v6)을 읽는다. 이후 Internet head length가 들어가고 TOS(Type of Service)가 들어가 패킷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ToS의 경우 기본 0이 들어가지만 긴급 ip들어갈때는 Tos값이 1로 변한다. 이후 Total of Length가 들어가 페이로드를 포함한 패킷길이인 1500바이트가 들어간다. 2단계 모식도 (단편화를 위한 장소)ID값(단편조각 모이는 순서) - IP Flag(단편화가 되었나?) - Flagment of..
네트워크 통신모델 네트워크 통신모델은 정말 많은 종류가 있지만 현재는 OSI 7Layer와 TCP/IP모델 2가지를 주로 사용한다. 1. OSI 7Layer(이론,참조 모델)ISO와 CCITT가 합작하여 만든 모델로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만든 모델로 설명하기 좋은 모델이다. 다른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호환성이 최대화 되었기에 참조모델로도 사용한다.하지만 실 생활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딱딱해서 이론 및 참조용으로만 사용한다.*참조용의 대표적 모델은 WIFI가 있다.(대부분의 인터넷 프로토콜은 TCP/IP모델인데 이는 유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모델이다. 하지만 WIFI는 무선으로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연결에 에러가 발생하는데 이때 OSI를 통하여 1계층,2계층 사이를 참조모델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특성 -계층 ..